2024/01 7

비트겐슈타인의 언어철학

Ⅰ. 전기철학 , 분석철학적 입장, 그림이론 : 언어가 세계의 그림을 그린다. 즉 세계, 현실 안에 존재하지 않는 언어는 의미가 없다고 본다. : 세계와 언어는 구조적으로 일치 언어 ------------- 세계 명제(요소명제) ------------- 사실(사태) 이름 ------------- 대상들 명제와 사실들은 일대일 대응,이름과 대상은 일대일 대응을 한다. 철학은 이미 있는 명제를 명료하게 하는, 언어비판일 뿐이다. “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선 침묵하라.” Ⅱ. 후기철학 , 말놀이이론(의미사용이론) : 초기의 자신의 그림 이론을 비판함, 자신의 그림이론에 따르면 언어는 바깥의 사물을 지시하는 것 ⟶ ‘없다’가 지시하는 것은 무엇인가? ‘아픔’과 같은 우리의 심적 상태는, 바깥의 사물/상태를 가리..

카테고리 없음 2024.01.16

소쉬르의 언어철학

★과거의 언어관주체 ----------------------- 말 -------------------------대상 (말하는 자) (지시, 표현, 표상) (말해진 것) 말은 주체와 말해진 대상 사이에 위치, 주체는 말로 대상을 의미화 함. 대상은 말에 의해서 표현 됨. 즉 말은 주체와 대상을 연결하는 매개체이다. ★소쉬르의 구조주의 언어관 1. 말은 대상이 아니라 (소리)기호: 언어는 대상에서 독립된, 자족적 기호체계. 지시대상에 의존하지 않음 2. 말은 기표와 기의의 결합으로 의미작용을 만든다. 기표(signifiant-청각이미지) + 기의(signifie-개념) = 의미작용(signification) a. 기표와 기의의 결합은 자의적이다. 필연적인 결합관계 無 ex) ‘소’ //프)bof //영)ox..

카테고리 없음 2024.01.16

소쉬르 학자 정보

페르디낭 드 소쉬르 (프랑스어: Ferdinand de Saussure, 1857년 11월 26일 ~ 1913년 2월 22일)는 스위스의 언어학자로 근대 구조주의 언어학의 시조로 불린다. 이후 그의 이론을 받아들인 사회학에서도 구조주의 사회학이 발생하게 되었다. 소쉬르는 언어학뿐만 아니라 인문사회과학, 나아가서 20세기 유럽사상사의 한 축을 형성한 인물이다. 마르크스(K. Marx)가 사회경제사의 큰 흐름의 방향을 제시하고, 프로이트(S. Freud)가 인간심리의 숨겨진 무의식(無意識) 세계를 발견했을 때 소쉬르는 인간정신과 문화의 매개이자 담지자인 언어의 과학적 탐구를 통해 다가올 새로운 시기의 과학 패러다임(paradigme)을 추구했다. 그가 20세기에 인문과학에 미친 영향의 역사적 의미는 구조주의..

카테고리 없음 2024.01.11